목차
卷二
滋水
乾地黃
滋水
乾地黃
본문내용
明, 象類君子, 有過必知。
비록 혹은 잘못 사용하면 조금 왕성한 기를 맑게 하며 복용하면 잠깐 편안함을 얻으니 인삼의 약품이 양명을 받아서 형상이 군자와 유사하여 과실이 있으면 반드시 앎음만 못하다.
(陽藥性劣, 於病不合便知。)
양적인 약은 성질이 용렬하니 병에는 합당하지 않음을 곧 안다.
是以師家斂手不敢用, 病家緘口不敢嘗。
그래서 스승이 손을 거두어 감히 사용치 않고 환자가 입을 봉하여 감히 맛보지 않았다.
故寧用以地黃, 門冬陰柔最甚之屬, 以至於死不覺。
그래서 차라리 지황, 문동의 음적인 부드럽고 가장 심한 속을 사용할지언정 죽어도 깨닫지 못함에 이르렀다.
(用陰藥殺人, 人多不覺, 故寧以陰爲主。)
음약을 사용함에 사람을 죽임을 사람들이 많이 깨닫지 못하므로 어찌 음으로 위주하는가?
張所論如此, 然非深究病情, 通達世故, 洞悉藥品, 亦安有討論而如斯乎!
장로가 이처럼 논의하니 깊이 병정을 연구하고 세상에 통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약품을 다 통달하면 또한 어찌 토론함이 이와 같겠는가?
生於江浙者陽氣力微, 生於北方者純陰力大, 生於懷慶肥大菊花心者良。
절강성에서 낳은 건지황은 양기력이 미약하며 북방에서 난 것은 순음력이 크니 회경에서 생산된 것은 비대하며 국화심은 좋다.
酒制則上行外行, 薑制則不泥膈。
술로 건지황을 법제하면 상행하며 외부로 가니 생강으로 법제하면 흉격을 니체하지 않는다.
惡貝母。
건지황은 패모와 상오한다.
畏蕪荑。
건지황은 무이와 상외한다.
忌萊, 蔥, 蒜, 銅鐵器。
건지황은 무, 파, 달래, 구리와 철 그릇을 꺼린다.
得酒, 門冬, 丹皮, 當歸良。
건지황은 술, 문동, 단피, 당귀를 얻으면 좋다.
비록 혹은 잘못 사용하면 조금 왕성한 기를 맑게 하며 복용하면 잠깐 편안함을 얻으니 인삼의 약품이 양명을 받아서 형상이 군자와 유사하여 과실이 있으면 반드시 앎음만 못하다.
(陽藥性劣, 於病不合便知。)
양적인 약은 성질이 용렬하니 병에는 합당하지 않음을 곧 안다.
是以師家斂手不敢用, 病家緘口不敢嘗。
그래서 스승이 손을 거두어 감히 사용치 않고 환자가 입을 봉하여 감히 맛보지 않았다.
故寧用以地黃, 門冬陰柔最甚之屬, 以至於死不覺。
그래서 차라리 지황, 문동의 음적인 부드럽고 가장 심한 속을 사용할지언정 죽어도 깨닫지 못함에 이르렀다.
(用陰藥殺人, 人多不覺, 故寧以陰爲主。)
음약을 사용함에 사람을 죽임을 사람들이 많이 깨닫지 못하므로 어찌 음으로 위주하는가?
張所論如此, 然非深究病情, 通達世故, 洞悉藥品, 亦安有討論而如斯乎!
장로가 이처럼 논의하니 깊이 병정을 연구하고 세상에 통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약품을 다 통달하면 또한 어찌 토론함이 이와 같겠는가?
生於江浙者陽氣力微, 生於北方者純陰力大, 生於懷慶肥大菊花心者良。
절강성에서 낳은 건지황은 양기력이 미약하며 북방에서 난 것은 순음력이 크니 회경에서 생산된 것은 비대하며 국화심은 좋다.
酒制則上行外行, 薑制則不泥膈。
술로 건지황을 법제하면 상행하며 외부로 가니 생강으로 법제하면 흉격을 니체하지 않는다.
惡貝母。
건지황은 패모와 상오한다.
畏蕪荑。
건지황은 무이와 상외한다.
忌萊, 蔥, 蒜, 銅鐵器。
건지황은 무, 파, 달래, 구리와 철 그릇을 꺼린다.
得酒, 門冬, 丹皮, 當歸良。
건지황은 술, 문동, 단피, 당귀를 얻으면 좋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