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속절과 주절은 동일한 주어를 가지므로 even though she could 가 와야 한다.
③ When he will come back, we can start dinner.
정답: will come → comes
해설: 시간 부사절의 주절에서는 동사가 미래시제를 쓰는 대신 현재시제를 써야 한다.
그리고 주절의 주어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이들에 대해서 종속절로 보는 견해와 부사절로 보는 견해를 복수로 인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5. 맺음말
종속절과 부사절의 관계는 결국 이어진 문장으로 보느냐 아니면 내포문으로 보느냐이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의 선행절 즉 종속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니다. 부사구와 종속절의 구별은 확인하겠습니다. 부사절의 경우는 주어+주어+서술어의 관계이며, 종속적으로 연결된 문장은 주어+서술어+주어+서술어의 관계를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껴안은 문장이 홑문장이 되고 이어지는 문장은 곁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3.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계대명사 S V
관계부사 S V
부사
부사구 : toV / 분사구문 / 전치사구
부사절 : 부사종속접속사 S V
7. 전치사구
The book on the desk.
명
8. to 부정사 ⓐ
V 부사
ex) - to go there is easy.
- I have something /to drink.
S V O
I\'m gald to meet you.
a
I go to school to study.
- I am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속접속문을 내포화구문(부사화내포문)의 하위 범주로 규정하고 그 통사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반해 전자의 경우에는 종속접속문의 통사특성이 부사절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하여 부사절을 모두 내포화구문(부사화내포문)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5.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