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 8g, 감초 4g과 생강을 달여 복용하니 곧 방기황기탕이다.
但汗多者는, 用此等分이라.
단한다자는 용차등분이라.
다만 땀이 많으면 이것 같은 분량을 사용한다.
附防附朮은 柔而厥者에 宜라.
부방부출은 치유이궐자에 의라.
부자방풍탕과 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탕주지.
만약 풍습이 서로 얽히면서 온 몸이 다 아프면 제풍습강활탕으로 주치한다.
除風濕羌活湯
제풍습강활탕
羌活七分 防風 升麻 柴胡已上各五分 藁本 蒼朮已上各一錢
강활 칠분 방풍 승마 시호 이상각오분 고본 창출 이상 각일전.
강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자하고 혹가어황기건중탕과 당귀사역탕 중하니라.
삼음병 요통에는 통치로 오적산에 두충과 부자를 가미하여 사용하고, 혹은 황기건중탕과 당귀사역탕 속에서 가미한다.
尙當於雜病의 腰痛에 參看이니라.
상당어잡병의 요통에 참간이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같은 기가 서로 구함이며, 내경에서 이른바 쇠약할 때는 같은 부류로써 함이다. 오매찰아관방 희연산 통정산 소합향환 허윤종황기방풍탕훈증법 이진탕 사군자탕가죽력강즙방 사물탕가도인홍화죽력즙방 팔미순기산 오약순기산 견정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탕에 독활을 가미한다.
氣虛하면 加人蔘하고, 便閉하면 去麻黃 白朮하고, 加大黃이니라.
기허하면 가인삼하고 변폐하면 거마황 백출하고 가대황이니라.
기가 허약하면 천금속명탕에서 인삼을 가미하고 대변이 막히면 마황과 백출을 제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