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압군에 의한 희생자 10,955명 + 장대에 의한 희생 1,764명…..
= 사망자만 14.000여명 1. 작은 전쟁기의 양민학살
2. 6.25 전쟁 초기의 양민학살
3. 6.25전쟁 후기의 양민학살
4. 북한지역 양민학살
5. 결론 (역사적 입장, 정부입장)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1.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암울하고 북한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 낙후된 인상을 받았어요. 신천에는 \'미제 양민학살 기념관\'이 있고 군(郡) 전역에 걸쳐서 학살장소를 보존하고 있어서 더욱 어두웠습니다. 안내원이 격앙된 어조로 전쟁시기의 미군의 만행에 대하여 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정부수립 10월 여순반란 11월 대구폭동(제여대)
49년 6월 국회프락치사건, 농지개혁법, 김구피살
50년 6월 625
51년 2월 거창양민학살사건
52년 5월 거제도공산포로폭동, 5 26정치파동
7월 발췌개헌(오리발직양)
53년 8월 한미상호방위조약
54년11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민학살진상규명특별위원회 활동결과보고서”, 2002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여순사건실태조사보고서 1(여수지역편), 1998
오마이뉴스, “민간인 학살 있었다 곳곳에서 증언”, 2000. 5. 27
오마이뉴스, “옥천 양민학살 보도 북한 신문 발견”, 2001.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남침
2. 미국의 개입
3. 전쟁의 봉합
4. 한국전쟁 통계
<2> 전쟁 중의 학살과 피해상황
1. 양민학살인가, 민간인학살인가
2. 남한의 학살
3. 북한의 학살
4. 민간인 학살, 그 이후
Ⅲ. 한국전쟁의 결과와 과제들
<1> 전쟁 이후의 상황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