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은 전쟁기의 양민학살
2. 6.25 전쟁 초기의 양민학살
3. 6.25전쟁 후기의 양민학살
4. 북한지역 양민학살
5. 결론 (역사적 입장, 정부입장)
2. 6.25 전쟁 초기의 양민학살
3. 6.25전쟁 후기의 양민학살
4. 북한지역 양민학살
5. 결론 (역사적 입장, 정부입장)
본문내용
1. 작은 전쟁기의 양민학살
제주 4.3 항쟁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남로당
제주도당 당원 김달삼 등 350여
명이 무장을 하고 제주도 내 24개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
제히 급습하면서 시작.
인적피해
진압군에 의한 희생자 10,955명 + 장대에 의한 희생 1,764명…..
= 사망자만 14.000여명
제주 4.3 항쟁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남로당
제주도당 당원 김달삼 등 350여
명이 무장을 하고 제주도 내 24개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
제히 급습하면서 시작.
인적피해
진압군에 의한 희생자 10,955명 + 장대에 의한 희생 1,764명…..
= 사망자만 14.000여명
추천자료
북한의 대남 전략과 전개과정
6.26한국전쟁에 대하여
중국과 북한의 군사적 관계
북한 핵실험 이후의 6자회담의 전망과 대책
[북한][군사력][군사정책][전쟁위협]북한의 군사력과 군사정책 분석 및 남한과 북한의 군사력...
북한 핵문제에 대한 북미협상과 문제점 및 비판적 시각
북한의 군사 제도 및 군의 역할
[북한핵문제][북핵문제][북한][핵문제][핵무기]북한핵문제(북핵문제)의 성격, 북한핵문제(북...
대구 지역 중소기업의 대북한 투자전략
대구지역 중소기업의 대북한 투자전략
전쟁의 먹구름을 몰아 올 북침전쟁 연습이 남녘땅 전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다.
6.25전쟁의 기원과 발발 그리고 그 영향
중국 북한의 관계변화와 현황 [냉전기 북중 관계]
김일성과 북한사회 (북한체제의 수립과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