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_지역의_양민학살_실태와_책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작은 전쟁기의 양민학살

2. 6.25 전쟁 초기의 양민학살

3. 6.25전쟁 후기의 양민학살

4. 북한지역 양민학살

5. 결론 (역사적 입장, 정부입장)

본문내용

1. 작은 전쟁기의 양민학살

제주 4.3 항쟁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남로당

제주도당 당원 김달삼 등 350여

명이 무장을 하고 제주도 내 24개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

제히 급습하면서 시작.

인적피해


진압군에 의한 희생자 10,955명 + 장대에 의한 희생 1,764명…..

= 사망자만 14.000여명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11.20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715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