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한자어의 변화
㉠<북한의 동의어(한자어 및 고유어)>
단어
단어
단어
단어
태양력
반
포격
반비례
약용식물
마철
모조
살모사
삼극진공관
다층주택
폭발음
삼복지경
과외시간
관악기
광물질비료
찰학가
하강선
야간전투
야전포
부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어의 대응현상」. 서울. 탑 출판사, 1989
리형태. 류은종「동의어, 반의어, 동음어」. 서울 : 한국문화사, 1993
리형태.「조선동의어 사전」. 서울 : 글, 1992
李濟吉.「類意語의 意味 分析에 關한 硏究」. 서울 : 민음사, 1991
홍사만.「국어 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국어 사전 분석(Ⅱ)」, 국립국어연구원.
4. 안병희 1993, 「북한의 한자어 외래어 사용 실태 조사」, 국립국어연구원.
5. 이익섭외 공저 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6. 최기호 2001, "남북 정상회담의 정치 담론과 한국어 통일의 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북한의 언어정책
Ⅱ. 북한의 이질화된 언어
1. 한자어 변형
2. 외래어
3. 일상 용어
4. 스포츠 용어
5. 문학예술 용어
6. 의학 용어
7. 의류 용어
8. 수학 용어
Ⅲ. 북한의 호칭어
1. 부모와 자녀사이
1) 아버지
2) 어머니
3) 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어휘정리사업으로 달라진 어휘-
조선옷(한복) 큰물(홍수) 단묵(젤리) 솔솔이(스프레이) 무른고약(연고) 불면불휴(끊임없는) 일본새(능력) 겨울나이(월동) 키나무(교목) 손기척(노크)
얼마 전 뉴스를 통해 북한 경수로 협력단과 수행했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