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시 토크가 증가 할수록 비틀림각이 증가하였다. T는 증가 하지만 원래 이론상으로는 J값이 일정해야 한다. 그런데 이번 실험에선 J가 자꾸 변했고, 심지어 하중이 1.0N이상으로 증가할땐 J값이 급격히 증가 함을 보였다. 그래서 내경의 네제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한 값을 보면 강봉이 황동봉 보다 비틀림 각이 적게 변한 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을 통하여 같은 힘을 강봉과 황봉에 가했을 때 강봉이 황동봉 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험 3) 중실봉과 중공봉의 비교
봉의 직경
3.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틀림각()
<rad>
길이(L)
<m>
전단탄성계수(G)
<GPa>
단면적(A)
<>
극관성
모멘트(J)
<
>
TL
<>
J
<>
1.0
0.05
0.068
0.5
38.0
6.03
9.65
0.026
6.56
2.0
0.10
0.136
0.5
38.0
6.03
9.65
0.051
13.12
3.0
0.15
0.205
0.5
38.0
6.03
9.65
0.075
19.78
4.0
0.20
0.273
0.5
38.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6.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림 각 사이의 오차이다.
실험비틀림각평균
이론적 비틀림각
비틀림각 오차
4.85
5.59
13.23%
9.75
11.172
12.73%
15.75
16.758
6.015%
계산하여 보았을 때 각 각 추가 10개일 때 13.23%, 추가 20개일 때 12.73%, 추가 30개일 때 6.015%로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6~14%정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4.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틀림각이 이며 길이 L, 반지름 c인 원형축의 전단변형률의 분포를 알아보자.
우선 그림상의 원통을 축에서 분리하고, 원통상에 두 인접원과, 두 인접직선이 만든 미소정방형 요소를 생각했을 때, 축이 비틀림 하중을 받으면 미소정방요소는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