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먼데 볼 것 없다. ‘내 마음이 등불이다.’ 최재목, 《내 마음이 등불이다-왕양명의 삶과 사상》, 이학사, 2003. 시는 어떻게 말하나?
-비흥-
1. 북곽선생의 ‘흥(興)’
2. 부(賦)와 비(比), 그리고 흥(興)
3. 비(比), 마흔의 도끼 자루
|
|
![]() |
비흥편은 중국 문학에 있어서 두종류의 전통적인 표현수법에 관해 논술하고 있다.즉 비와 흥에 대한 자세한 서술인 것이다.단락별로 그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비와 흥의 특성
비-附,附理,蓄憤以斥言
흥-起,起興,環譬以託諷
2.흥-
비흥, 第36장 比興 비흥,
|
|
![]() |
비흥>으로 돌아가 <비>는 <비덕>의 잔존으로 개념적 인식을 정감과 자연사물이 조화 합일하는데 중개로 삼음
<흥>은 정감과 자연의 직접적 융합이 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흥>이 이정, 의경과 완전히 같지 않지만, 실제 문
|
|
![]() |
비흥은 부르기도 외우기도 전하기도 쉬운 실상이 너무도 예사스런 비유이다.
위에서도 살펴보았듯이 특별한 음수율은 눈에 띄지 않는다. 그렇지만 ‘곡’이라는 점에서 당시의 대중에게 매우 호응을 받았다.
다음은 ‘가’에서 골라 더불
|
|
![]() |
비흥(比興)을 중시했다든가 한유가 복고를 주장한 것은 모두 유협과 그의 문심조룡의 이론면에서의 영향이다. 그리고 송, 명, 청 시기의 내려오면서도 많은 작가와 비평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참고문헌]
겨울 학술특강자료(제2강 동양미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