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서언 - 조선 후기 예술사의 흐름
2. 민족어문학론의 풍부한 발전
3. 조선 후기 서민시가의 장르별 성격
1) 정감의 자유로운 발산과 사설시조
2) 다채로운 인정물태의 재현과 가사
3) 잡가의 대중성과 유흥성
4. 결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잡가의 부상과 지형의 변동
3. 잡가의 대중성과 통속성
4. 결론
Ⅱ. 잡가에 관한 심층적 연구(작품 위주로)
1. 잡가의 정의
1) 경기 잡가
2) 서도 잡가
3) 남도 잡가
2. 잡가의 특징
1) 유흥성
2) 다양성
Ⅲ. 12잡가를 중심으로
1. 12잡가
2.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잡가의 이러한 개방적이며 혼합적인 속성에서 우리는 잡가의 내용이 되는, 조선조 말엽의 도시 하층민 특유의 복합적인 정서와 그 형상화를 발견할 수 있다.
1. 유흥성 추구
한림별곡을 비롯하여 시조, 사설시조, 가사 등 모든 시가에서 발견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잡가의 담당층
3.1 잡가의 속성으로의 서민적 정서
- 유흥성 추구
잡가에서 드러나는 유흥성 추구는 하나의 성향으로 지난바 다양성의 일면모를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든 잡가의 사설을 일관하는 공통의 정서로 자리잡고 있는 특성을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 문화의 주체가 상층도 하층도 그렇다고 중간층도 아닌 도시의 대중이므로 특정의 신분계층에 국한하지 않고 불특정 다수로 보아야 한다. 1. 머리말
2. 잡가의 생성기반과 담론 특성
3. 잡가의 사설엮음원리와 실현양상
4. 맺는 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