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소의 부피 = 0.352L
같은 온도와 압력 하에서 모든 기체는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분자가 있다라고 정의한 아보가드로 법칙에 의해 0.352097985383549432023795864L에 존재하는 산소의 몰수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4)0℃,1기압일 때 1몰의 O2부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0.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모서리 길이는 (스테아르산의 분자 길이 / 18 )이다.
& 모서리 길이의 세제곱은 원자의 부피이다.
∴ 아보가드로수는
= 몰부피(cm3/mol) / 원자부피 (cm3/atom) = atom수/mol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8.04.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몰이 차지하는 부피(Vm)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탄소 원자 하나의 부피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것은 그렇게 쉽지 않지만, 기름처럼 물에 섞이지 않는 탄소화합물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짐작할 수 있다.물(H2O)은 전자를 잘 잡아당기는 산소 한 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2.02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몰질량
기체의 압력과 부피 관계를 연구하다 보니 이상한 결과를 흔히 얻음
그림 8. 23 PV/RT는 항상 1이어야함에도 불구하고 P가 증가할수록 크게 벗어난다.
말 그대로 이상적인(ideal) 것은 없다.
8. 9) 이상거동으로부터 벗어남
van der Waals 가 설명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용하는 법을 알아보자. ♣ 아보가드로 Amedeo Avogadro (1776~1856)
♣ 원자의 개수 세기
♣ 아보가드로의 법칙
♣ 국제단위계에서의 몰(mole)의 정의
♣ 6.022×10²³개란 수가 얼마나 큰 수일까?
♣ 몰이란?
♣ 몰과 아보가드로 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