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뒤에 마죽을 개량해 사용하니 생회산약 40g을 사용해 곱게 가루내어 달여 죽을 만들어 조금 백설탕을 조리하니 매일 두 번 점심에 복용케 하였다.
又間進開胃之藥。
또한 간혹 위를 여는 약을 더했다.
旬餘而安。
10여일만에 편안해졌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두령 마황 감초(炙) 37.5, 길경 인삼 18.8, 아교주 관동화 오미자 15, 행인 정력자(炒) 반하 11.3
*감초 지모 정력자는 닦는다. 반하는 생강으로 법제한다. 위 약을 졸인 꿀로 반죽해서 1.5g 되게 제환한다. 한번에 10환씩 하루 3번 오매, 생강, 대추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숙지황 맥문동 당귀 황기 황금 과루인 도인 승마 酒홍화
오매환: 오매 세신 건강 황련 당귀 부자 촉초 계지 인삼 황벽
비아환: 호황련 사군자육 인삼 황련 신곡 맥아 산사육 백출 복령 감초 노회
대황목단탕: 대황 목단피 도인 동과자 망초
양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황기 10g, 복령, 진피, 당귀 각각 4g, 승마 1.2g, 맥문동 2.8g, 길경2.4g, 오미자 1.6g, 감초 2g을 생강에 달여 복용한다.
治肺癰의 脾氣虛弱하야 咳吐膿涎하고 中滿不食이라.
폐옹의 비기가 허약하여 기침으로 농연을 토하고 중초창만하여 먹지 못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약(산약)
6) 인삼(인삼)
7) 황기
2. 보양약
1) 녹용
2) 두충
3) 파극천
3. 보혈약
1) 숙지황
2) 아교
4. 보음약
1) 구기자
2) 석곡
3) 천문동
4) 호마인
5. 이수삼습약
1) 등심초
2) 복령
3) 의이인
4) 활석
6. 방향화습약
1) 곽향
2) 사인
3)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