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락의 연속이라면 사물놀이는 단절없이 계속 점층적 가속이라는 면이 가락의 순서입니다. ‘우도굿‘의 예를 들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① 혼합장단
-+- 오채질굿 ▶ +- 우질굿 ▶ +- 좌질굿
② 복합장단
-+- 풍류굿(굿거리) ▶ +- 느린3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장고의 놀이성보다는 음악적인 면이 강조가 된다.
\'삼도농악(풍물굿)가락\' 역시 삼도의 대표적인 풍물굿 가락을 모아 앉은반의 형태로 연주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물놀이\'하면 떠올리는 사물놀이의 대표적인 모습이기도 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터라고 생각된다. 삼도설장고가락이 장고를 통해서 연주자의 기량과 음악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삼도농악가락은 꽹과리, 징, 장고, 북의 사물을 가지고 우리의 가락속에 잠재되어 있는 음양의 원리와 자연의 이치를 수많은 세월을 통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삼도농악가락은 사물악기(꽹과리, 징, 장고, 북)가 완벽하게 호흡이 맞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사물놀이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네 개의 악기가 만들어 가는 조화는 공연 때마다 듣는 맛이 다르게 느껴진다. <판굿> 삼도설장고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꽹과리
Ⅴ. 사물놀이와 호흡
Ⅵ. 사물놀이의 연주갈래
1. 비나리
2. 삼도설장고 가락
3. 삼도농악가락
Ⅶ. 각 지역별 사물놀이
1. 호남우도풍물굿가락
2. 호남좌도풍물굿가락
3. 영남풍물굿가락
4. 웃다리풍물굿가락
참고문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