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제로 해석한 것이다.
참고 문헌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2010, 집문당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10, 월인 1. 시제의 개념
2. 상대 시제의 실현 양상
2. 1. 안은 문장에서의 상대 시제의 실현 양상
2. 2. 이어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은 문장의 사건시를 기준으로 한 말입니다. 발화시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는 다른 의미가 파악될 수 있습니다. 관형절의 시제에서 발화시를 기준으로 한 시간을 절대 시제라 하고, 안은 문장의 사건시를 기준으로 한 시제를 상대 시제라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10.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대 시제-현재)
동작상
-완료상 -자장면을 다 먹어 버렸다.
-미완료상 -진행상, 예정상(전망상) : 바람이 세게 불고 있다, 영현이는 드디어 초등 학교에 가게 된다.
동작상은 발화시에 한정하여 논할 수 없다. 동작상은 동작이 일어나는 양상을
국어문법론 픔사, 형태소 단어형성, 국어문법론정리(형태소, 픔사, 단어형성, 문장의 짜임, 높임법, 종결법, 사동법, 피동, 부정법, 지시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대높임법은 문장 종결어미에 의해 높임의 등급이 분화
: 객체높임법은 객체높임 동사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 등에 의해 실현
㉢ 시제법의 변화
: 역사적으로 시제 어미 ‘-었’, ‘-겠’이 새로이 생성
: ‘었’ - 어 잇 ⇒ 엇 ⇒ 었
: ‘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대 시제는 현재라고 한다. 이렇듯 과형사형 어미를 통해 실현된 시제를 설명하는데 상대 시제의 쓰임이 유용하다. ㅁ)의 경우도 ‘-하니’는 절대 시제로는 과거이지만 문장 전체를 볼 때 현재라고 설명한다. 이렇듯 절대와 상대 시제를 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