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제로 해석한 것이다.
참고 문헌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2010, 집문당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10, 월인 1. 시제의 개념
2. 상대 시제의 실현 양상
2. 1. 안은 문장에서의 상대 시제의 실현 양상
2. 2. 이어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은 문장의 사건시를 기준으로 한 말입니다. 발화시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는 다른 의미가 파악될 수 있습니다. 관형절의 시제에서 발화시를 기준으로 한 시간을 절대 시제라 하고, 안은 문장의 사건시를 기준으로 한 시제를 상대 시제라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10.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대 시제는 현재라고 한다. 이렇듯 과형사형 어미를 통해 실현된 시제를 설명하는데 상대 시제의 쓰임이 유용하다. ㅁ)의 경우도 ‘-하니’는 절대 시제로는 과거이지만 문장 전체를 볼 때 현재라고 설명한다. 이렇듯 절대와 상대 시제를 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장의 내용을 지시함.(‘저’는 쓰이지 않음)
예)“난 그 때 그 사람이 거기 있는 줄 몰랐다.”
②‘그’는 상대방의 이야기에 언급된 내용을 지시함.(‘이’는 쓰이지
않음)
예)“어머닌 저는 조금도 귀여워하지…”→“그런 말을 하면 못쓴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제상서법, 월인.
이익섭임홍빈(1983), 국어문법론, 학연사.
이익섭채완(1999), 국어문법론 강의, 학연사.
이재성(2001), 한국어의 시제와 상, 국학자료원. 1. 들어가며
2. 문제의 제기
3. ‘-었-’에 대한 연구
3.1. 과거
3.2. 완결
3.3. 과거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