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대사전에서 검색한 결과 ‘한데’의 옛말로 ‘한 곳에’, ‘한 군데’ 정도로 해석이 가능하다.
: (관형사) +(의존명사)
● 잇더시니 잇더시니: 현대국어에서는 주체높임의 선어말어미가 회상법의 선어말어미의 앞에 오지만 중세국어에서
|
- 페이지 79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석보상절 원문 현대어역
< 釋譜詳節 第六 >
世尊이 象頭山애 가샤 龍과 鬼神과 위야 說法더시다. ≪龍鬼 위야 說法샤미 부로 나히 셜흔 둘히러시니 穆王 여슷 찻 乙酉ㅣ라.≫
▶ 세존이 상두산에 가시어서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하시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와 한자음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며, 유려한 문장으로 다른 불경언해와 달리 문학적 가치가 높다. 최초의 번역불경이며, 또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국문활자본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권6·9·13·19는 1955년 한극학회에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08.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에서는 활용의 어간과 비슷하므로, 하나의 체언에 조사가 통합되어 어형이 달라지는 것을 곡용이라 한다. 곡용은 규칙적곡용과 불규칙곡용, 그리고 특수곡용이 있다.
1) 규칙적 곡용
규칙적곡용은 명사의 어간의 정해진 조건에서 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교육과
번호
본문
공 부 내 용
1
원문/해석
龍과 鬼神과 위야 (용과 귀신을 위하여)
형태소분석
龍(명사)+과(공동격 조사) ∨ 鬼神(명사)+과(공동격 조사) ∨ 위-(어간) + -야(연결어미)
과제내용
접속조사 ‘와/과’의 중세국어적 용법
해 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25.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