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문 / 해석
원 문
해 석
오딪 오딪 오딪
오딪 셔럽딪링
셔럽딪 의내여
功德 딪까링 오딪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서럽다여
서럽다 우리들이여
공덕 닦으러 오다
.배경설화
중 양지(良志)는 그의 조상이나 주소는 알지 못하나, 선덕왕 때 사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화문맥에서 비롯된 가공인물인가? 혹은 설화적 인물이지만 그 이면에 실제로 역사적 작자가 존재했는가?
제 목 : 원가(怨歌)
원문
忠與二友相約 掛冠入南岳 再徵不就 落髮爲沙門 爲王創斷俗寺居焉 願終身丘壑 以奉福大王 王許之 留眞在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6.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가요
(1) 제 목 : 동동
원문
德으란 곰예 받고 / 福으란 림예 받고 / 德이여 福이라 호 / 나라 오소이다 / 아으 動動다리 // 正月ㅅ 나릿 므른 / 아으 어져 녹져 논 / 누릿 가온 나곤/ 몸하 올로 녈셔/ 아으 動動다리 // 二月ㅅ 보로매 / 아으 노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6.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고전시가]
교육학과 4772027
신은진
1.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제32대 효소왕 시대에 죽지랑이 화랑의 우두머리가 되었을 때, 득오라고 하는 급간한사람이 화랑의 명부에 이름을 올려놓고 매일 출석하였다. 어느 날, 득오가 열흘동안 보이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 ,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Ⅰ.서 론
Ⅱ. 본 론
(1)시대적 배경 - 문종(문종)
(2) 가락국기 원문
(3) 가락국기(가락국기)의 해석
(4) 가락국기에서 허황후 관련 설화
(5) 구지가 해석
(6) 구지가의 해독
Ⅲ. 결 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