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性善說과 순자의 性惡說은 완전히 서로 다른 또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생각한다. 물론 단순히 생각할 때는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와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럴 것이다. 하지만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과 악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점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들이 분분하고 생각과 이치가 달라 답을 내릴 수 는 없는 부분일 것이라 생각한다.
첫째로 맹자(孟子)가 주장한 성선설은 중국철학의 전통적 주제인 성론이다. 사람의 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4.11.07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악설(性惡說)에서 사용되는 성(性)이란 개념은 맹자(孟子)가 사용한 성선설(性善說)의 성(性)과 다르다. 이 관찰은 매우 중요하다. 맹자(孟子)가 말한 성(性)은 인간의 본능, 욕망을 가리키지 않고 인간의 이성과 성정(性情)을 지시한다. 그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과 살육이 발생하기 때문에 악이라는 본성을 교정(矯正)하는?사법(師法)의 가르침과 예의의 길?인 위(僞:人爲)에 의해서만 치세(治世)를 실현할 수 있다 하여, 여기에서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에 반대하는 성악설(性惡說)이 태어났다. 송대(宋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선설(性善說)’과 ’왕도정치(王道政治)‘, 순자의 ’성악설(性惡說)과 ’예치(禮治)와 법치(法治)의 결합‘, 송대(宋代)주자의 ’정주이학(程朱理學) 등이 있다.
2. 시대에 따른 유학의 발달과 특징
(1) 유가사상의 시대적 변천
공자에 의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