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개요
Ⅱ. 세시풍속의 의의
Ⅲ. 세시풍속의 분류
1. 일반행사와 특수행사
2. 고유행사와 외래행사
Ⅳ. 세시풍속과 절기
1. 정월
2. 이월
3. 삼월
4. 사월
5. 오월
6. 유월
7. 칠월
8. 팔월
9. 구월
10. 시월
11. 동짓달
12. 섣달
13.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런 중국의 영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 고유의 것으로 개발된 것이 바로 촌수라 하겠다.
※ 참고 문헌
『한국민속학』, 김동욱.최인학 외, 새문사, 1998
『한국의 세시풍속』, 김성원, 명문당, 19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성판봉 폭포 등을 꼽았었다.
참고문헌
ⅰ. 강기리(2004), 조선시대 단오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ⅱ. 김선풍, 김경남(1998), 강릉단오제연구, 보고사
ⅲ. 김용환(1990), 한국의 풍속화, 민문사
ⅳ. 이광렬(2005), 우리나라 세시풍속, 청연
ⅴ. 이창식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붉은빛이 귀신을 쫓는다고 믿었기 때문이지요.
11월과 12월의 세시 풍속
동지는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으로,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에요. 그러나 이 날을 기준으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므로 새해의 시작을 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8.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가장 큰 차이는 일본의 칠석은 양력 7월 7일인데, 우리나라의 칠석은 음력 7월 7일이라는 점이다.
참고문헌
김용덕(1988), 칠월의 세시풍속, 통일한국
김명자, 세시풍속의 연구, 한국민속연구사
이강로(2000),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세종대왕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