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선입법이 소급적용되는 범위도 위헌결정에서 소급효가 인정되는 범위와 같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헌법불합치결정 당시의 시점까지 소급되는 것이 원칙이라 할 것이다.
2)대법원의 입장
구체적 규범통제의 실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피의자)에게 불리한 사후 입법에 의한 소급처벌은 금지되며, 이는 죄형법주의의 원칙을 준수하기 위함이다.
-행위자에게 유리한 법률의 소급효는 허용되는데, 이는 형벌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지난 2015년 2월, 우리나라 헌법재판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900원
- 등록일 2024.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정하여 범죄의 성립과 형벌의 종류범위에 있어서 피고인에게 유리한 사후법의 소급효를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1. 소급효금지 원칙의 의의
2. 소급효금지 원칙의 내용
3. 피고인에게 불리한 판례변경의 소급효 인정문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급효
1. 소급효 인정여부
2. 학설의 입장
3. 판례의 입장
Ⅲ. 소급효가 인정되는 사유
1. 대법원의 입장
2. 헌법재판소의 입장
Ⅳ. 쟁송기간이 경과한(불가쟁력이 발생한) 행정처분의 소급효 문제
1. 소급효 인정 가능성
2. 위헌인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급효금지원칙이 적용된다는 긍정설, 보안처분은 과거의 불법에 대한 책임에 기초하는 제재가 아니라 장래의 위험성으로부터 행위자를 보호하고 사회를 방위하기 위한 합목적적인 조치이므로 소급효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부정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5.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