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춘풍, 소백주, 한우, 구지, 송이, 매화, 다복
중의 한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초장의 '매화 옛 등걸'은 老妓로서 자기 자신을 말하는 것으로, 돌이킬 수 없는 젊음을 가리킨 것이며, 종장의 '춘설이 난분분하니'는 젊고 예쁜 기생이 많음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 희극미
3. 작가별 작품 개관
(1) 황진이(黃眞伊)
(2) 소춘풍(笑春風)
(3) 계랑(桂娘)
(4) 한우(寒雨)
(5) 홍랑(洪娘)
(6) 명옥(明玉)
(7) 천금(千錦)
(8) 매화(梅花)
(9) 송이(松伊)
(10) 구지(求之)
4. 문학사적 의의
Ⅲ. 나가는 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춘풍(笑春風)다 소춘풍(笑春風)다
(뒤척뒤척 외로운 침상에 어찌 잠이 오리오. 서창을 열어보니 복사꽃 피었도다. 복사꽃은 시름없이 봄바람을 비웃네, 봄바람을 비웃네.)
넉시라도 님을 Ɇ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200원
- 등록일 2020.10.14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춘풍(笑春風) : 성종이 신하들과 함께 잔치를 벌이면서 불러 술을 따르게 했더니, 소춘풍은 영의정 앞에 나아가서 문반을 칭송하는 시조를 불렀는데(1수), 거기에 문신을 추켜올리고 무신을 낮추는 구절이 있어 다시 무신 앞에 가서 앞의 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들어가기
Ⅱ. 구체적인 작품 분석
2. 1. 소춘풍 2. 2. 송이 2. 3. 매화 1 2. 4. 매화 2 2. 5. 천금 2. 6. 소백주
2. 7. 명옥 또는 매화 2. 8. 홍랑 2. 9. 한우 2. 10. 계랑 2. 11. 무명씨 2. 12. 황진이
Ⅲ. 맺음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