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의 중력가속도와 걸린 시간은 모두 같아야 한다. 일단 우리조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질량이 중력가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반지름이 서로 비슷한 쇠공과 플라스틱공을 비교해보자. 반지름이 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쇠공의 실험값 차이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자.
Delta t= { 1 } over { sin theta } sqrt { { 1 } over { g } {2+ { 4 } over { 5 } ( { r } over { r_{ eff } } )^{ 2 } } } ( sqrt { h-h_{ 2 } } - sqrt { h-h_{ 1 } } )
위의 식에서도 볼 수 있듯이, t에는 질량변수가 들어있지 않다. 즉 공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차율이 매우 아쉬웠지만,
실험에서 완전비탄성 충돌에 대해 잘 알게 되었고 탄동진자 실험으로 쇠공의 속력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1. 실험결과
1) 쇠공의 질량 = 0.0660 kg
2) 플라스틱공의 질량 = 0.00983kg
2. 오차,원인 분석
3. 결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2.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쇠공을 쏘는 것인데 탄동진자에 의한 쇠공의 초기속도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그리고 두 번째 실험은 단순히 탄알로 진자만을 쳐서 올리는 실험이었다. 두 번째 실험을 할 때 각도측정기의 기준점이 0°가 아니라 5°로 맞춰져 있어서 측정된 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쇠공을 확실히 붙잡지 못한 경우 진자가 올라간 높이는 월등히 높았는데, 이는 쇠공이 튕겨나감으로써 방향을 바꾸었기 때문에 진자에 더 많은 운동량의 변화를 주었고, 진자는 쇠공의 질량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 높이 올라갔던 것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