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급권자의 범위 및 판정기준……………………………4
3. 수급자의 권리보호…………………………………………6
4. 급여의 원칙 및 종류…………………………………………6
5. 최저생계비의 결정………………………………………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3.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준에 따라 수급자의 탈락여부를 판단토록 함으로써 부양의무관계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물론, 부양능력판정에서 부양능력미약 구간을 설정하고 이에서 부양의무자와 수급권자 간의 혈연적 거리에 따라 부양비 차등부과를 하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정기준표
부양능력
판 정
부양의무자가구
수급권자가구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소득
재산
소득
재산
소득
재산
소득
재산
소득
재산
소득
재산
없 음
(해당금액미만일때)
1인
41
7,920
69
7,920
94
8,280
119
8,280
135
8,760
152
8,760
2인
41
7,920
69
7,920
94
8,28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준을 현재의 최저생계비의 130%에서 150% 궁극적으로는 180%까지 인상하는 것을 정책의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아울러 부양능력 재산기준 특례도 부양의무자 가구와 수급권자 가구의 최저생계비이 합을 120%미만으로 상향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정기준
4. 보험급여의 내용
(1) 재가급여
(2) 시설급여
(3) 특별현금급여
5. 장기요양기관
(1) 시설급여 시설
(2) 재가급여 시설
6. 재원조달
(1) 장기요양보험료
(2) 국가지원
(3) 본인일부부담
7. 문제점 및 향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