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 d = 관사, e = euch, h = have, KE = keine Entsprechung, s = sich,
w = wurde, was/were
* 장/절의 마지막 숫자는 수동표현이 같은 절안에서 나타나는 순서를 나타냄. 0. 서론
1. 분석자료 및 연구방법
2. 분석결과
3. 논의
< 참고문헌 >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의 목적어, 서울 : 월인
박갑수(1985), 현대 국어 문장의 실태분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이홍식(2000),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서울 : 월인 Ⅰ.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기준
1. 형태론적 기준
2. 통사론적 기준
Ⅱ. 국어 문장성분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에서는 수동문의 형태가 영어에서처럼 뚜렷하게 문법적으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수동태 문법이 따로 존재한다고는 말하지 않지만 분명히 GB이론이 제시한 것처럼 독립적인 구문으로서 존재한다. 단지 우리나라 말이 수동적인 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 KOREAN Ⅱ, 대한민국문화부.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편(1992), 한국어 KOREAN Ⅲ, 대한민국문화부.
이계순(1980), 외국어교육의 새로운 이론과 그 교육방향, 외국어교육 논문집, 한국외국어대학 외국어연수원.
이영숙(1990), 수동문 구문의 대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0.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동문은 「사건의 상태변화를 나타낸다」는 의미를, 「받다」는「어떤 동작, 작용을 받는다」는 의미, 그리고 「당하다」는 「피해를 받는다」는 의미를 각각 내포한다. Ⅰ. 서론
Ⅱ. 본론
1. 언어의 정의
2. 한국어의 특징
1) 구문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