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정복이 유형원의 저술을 초록하여 엮은 『동사례(東史例) 』와 지리지『동국여지지(東國與地志)』가 특히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연구』,혜안, 1996, p.170
때문이었다. 그는 상고에서부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사학사적 의의
2. 안정복
1) 순암 안정복의 생애
2) 안정복의 역사관
3) 안정복과 동사강목
4) 사학사적 의의
3. 이익과 안정복
1) 이익이 안정복에게 끼친 영향
2) 이익과 안정복의 비교
Ⅲ.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6.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정복의 사상 연구; 서학과 성리학에 관한 인식을 중심으로(강병수,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7)
-서학에 대한 한국실학의 반응(최동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88)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동사강목\' 지리고에 관한 일고찰
-강세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정복의 사상과 동사강목》, 한국학보 제53호, 일지사
강세구, 1994, 《東史綱目硏究》, 민족문화사
강세구, 1996,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연구》, 혜안
한영우, 2002, 《역사학의 역사》, 지식산업사
한영우, 1989, 《조선후기 사학사연구》,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사강목>
강세구. 『동사강목연구』. 서울: 민족문화사, 1994.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연구』 . 서울: 혜안, 1996.
강세구. 「동사강목의 저술배경 - 남인의 참여와 관련하여 -」. 『동아연구」 17.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1989.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