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것을 인간이 먹어보고 맛이 좋아 계속 만들어 먹었는데 이 술을 원주(猿酒)라고 한다. 수렵, 채취시대의 술은 과실주였고, 유목시대에는 가축의 젖으로 젖술(乳酒)이 만들어졌다. 곡물을 원료로 하는 곡주는 농경시대에 들어와서야 탄생했다.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식디미방》에서는 유밀과류를 후식으로 여겨 연약과, 약과, 박산, 중박계, 빙사과, 강정, 앵도편 등의 조리법을 찾아볼 수 있는데, ‘약과법’은 “밀가루 1말에 꿀 2되, 기름 5홉, 술 3홉, 끓인 물 3홉을 합해서 반죽하여 모양을 만들고 기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3.1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식디미방, 규합총서 등이 나오고 밥, 국, 김치, 반찬으로 식단이 체계화되고 상차림의 구성법이 정착하게 되었다. 조선시대 중엽에는 남방에서 고추가 유입되어 새로운 김치문화가 형성되었는데 지봉유설에 고추가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식디미방, 飮食知味方)
● 1700년대:
홍만선(山林經濟), 유중림(增補山林經濟)
● 1800년대:
빙허각이씨(閨閤叢書), 서유구(林園十六志), 각본규합총서
최한기(農政會要), 이규경(五洲衍文長箋散稿), 시의전서, 술 빚는 법
|
- 페이지 5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3.02.1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술
삼국시대부터 중국에 명성이 전해질 만큼 깊은 역사와 뛰어난 맛을 지님
조선시대 문헌에 의하면 지역별로 많은 술이 가양주(家釀酒) 형태로 존재
- 조선시대 산가요록, 수운잡방, 음식디미방 등에 소개 전통주의 현주소
해외 주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7.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