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보통신혁명과 사회변화’
2006년 11월 ‘임종국 상’ 학술부문 수상 1. 서론
1.1. 근대화의 정의
1.2. 식민지 근대화 이론의 정의
2. 본론
2.1. 식민지 근대화론 주장과 근거
2.2. 식민지 근대화론비판에 대한 주장과 근거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기 사료와 수치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무기로 한국 역사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고 현재에도 기본적인 주장은 바뀌지 않고 근거자료와 이론을 꾸준히 보충하고 있다. 근대화론은 겉으로는 일제의 수탈을 인정하고 있지만 그 비중을 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근대화론의 등장배경
1.1.내재적발전론 비판
1.2.탈민족주의 담론과 식민지근대화론
2.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발전론 비교 : 쟁점을 중심으로
2.1.근대의 쟁점
2.1.1.광무양전사업
2.1.2.일제토지조사사업
2.1.3.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 시대를 보는 눈, 한국노농이론정책연구소『현장에서 미래를』, 1997
◎ 백낙청, 한반도에서의 식민성 문제와 근대 한국의 이중과제, 창작과비평, 99호, 1999
◎ 이만열, 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문제 검토
◎ 이병렬, 일제식민지 유산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취하고 있진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근대화론이 제시하는 근거에 대한 확고한 반대 입장 정리나 비판적 생각이 정립되어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식민지근대화 주장을 접하면서 감정적으로는 부정하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