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주한 나머지 수탈의 실상을 생생히 밝히는데 매우 소홀했다는 점이다. 정연태, 앞의 논문, pp. 367-369
Ⅴ. 결 ; 목적으로서의 식민지 수탈론과 수단으로서의 식민지 근대화론의 융합
일본 역사교육자협의회 위원장인 이시야마 히사오는 ‘역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1930년대 농업정책에 관한 연구」,『한국근대 농촌사회와 농민운동』, 열음사, 1988.
박현채,「한국자본주의와 민족자본」, 『한국의 사회경제사』, 한길사, 1987.
배성준,「특집1 : 식민지근대화론을 비판한다 1930년대 일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 근대화론은 과연 우리의 민족주의 사관에 독으로 밖에 적용되지 못하는 것일까? 반대로 수탈론은 민족주의의 입장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숙명론일까? 모든 이념과 사상에는 지향하고자 하는 바가 존재한다. 그것에는 우리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대화론의 쟁점-근대적 경제성장과 관련하여->,《동양학》41, 단국대학교, 2007
홍성찬,<(서평) ‘식민지근대화론의 역사인식 해부>, 〔역사비평〕80, 2007
기존의 수탈론과 근대화론의 논쟁에 대해 이를 극복하고 제3의 입장에서 양쪽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대화론’」, 『역사비평』 1991년 겨울호 참조.
30) 조석곤, 「수탈론과 근대화론을 넘어서」, 『창작과비평』 1997년 여름호, 359면.
31) 『동아일보』 1997년 8월 14일자.
32) 정태헌, 「수탈론의 속류화 속에 사라진 식민지」, 『창작과비평』 1997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