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농씨가 바로잡은 것을 취하고 곁으로 별록의 여러 의가들을 아래에 부록으로 채록하여 더욱 장씨와 이씨 여러 의가들의 약을 사용한 예를 더했다.
一、古本百病主治藥,略而不切。
10. 고대 판본 여러 병의 주치하는 약은 대략 끊어지지 않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체계를 형성하고 있고, 중국의학에서 말하는 음양오행 조화의 기초와 특색의 기초를 다지고 있다. 1. 병의 고통
2. 몸의 부위
3. 발병의 원인
4. 약물
5. 무 와 의
6. 전통의학의 수립
7. 신농본초경
8. 황제내경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품·중품의 구분이 없어지기 시작하고, 중기부터는 상품·하품의 구분이 없어져 모두가 상품화(上品化)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백자질의 평준화라는 데 또 다른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청화백자는 수효는 적으나 간결하고 기품이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농본초경소에서 말하길 옹저는 모두 7정의 우울과 번뇌와 분노로 얻으니 원지는 신미로 울체를 흩어지게 할 수 있다.
(按辛能散鬱者多矣,何獨遠志?)
나 왕앙이 살펴보니 신미는 울체를 발산함이 많은데 어찌 홀로 원지만 사용하는가?
(《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농본초경(神農本初經)에 365종의 약물이 상, 중, 하품으로 구별되어 수록되어 있고, 이후 화타, 이귀지, 오보 등이 중국의 약용식물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1280년에 기록된 삼국유사기이(三國遺事奇異)에 의하면 한웅이 곰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7.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