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나라 원나라 우리 명나라의 여러 의사가 사용한 것 39종류를 더해 넣었다.
時珍續補三百七十四種。
나 이시진은 374종류를 계속 보충하였다.
雖曰醫家藥品,其考釋性理,實吾儒格物之學,可裨《爾雅》、《詩疏》之缺。
비록 의사의 약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은의 지극함을 우러르지 못하겠습니다.
萬歷二十四年十一月 日進呈,十八日奉聖旨: 書留覽,禮部知道,欽此。
만력 24년(1596년) 11월 18일에 성지를 받들어서 책을 쓰며 예부지도 이를 씀. 本草綱目原序본초강목원서
진본초강목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7.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本草備要一書,蓋 (딸 힐; -총18획; xie)
取經疏、綱目二書之精義而備其要也。
왕인암 선생의 본초비요 한 책은 신농본초경소와 본초강목 두 책의 정밀한 뜻을 따서 요점을 대비하였다.
其藥品皆尋常共用之品,雖祗四百餘種,而檢書用藥,已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다.
多食辛,則筋急而爪枯.
신미를 많이 먹으면 근육이 급하며 조갑이 마른다.
(肝合筋,爪者筋之餘。爲金克木,按肝喜散,故辛能補肝,惟多則爲害)。
간은 근육에 합하며 조갑은 근의 나머지이다. 금이 목을 상극하면 간은 흩어짐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할 수 있으니 몸이 허약인이 사용할 때는 과체로 대신한다.
(丹溪曰人參入手太陰、補陽中之陰。)
주단계가 말하길 인삼은 수태음경에 들어가서 양중의 음을 보한다.
(蘆反能瀉太陰之陽,亦猶麻黃根、苗不同。)
노두는 반대로 태음의 양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