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9건

약성에 기인하여 서로 따름이 있다. (如屬木者入肝,屬水者入腎;潤者走血分,燥者入氣分;本天者親上,本地者親下之類); 만약 목에 속해 간에 들어가며 수에 속하면 신에 들어간다. 윤택하면 혈분을 달리며, 건조하면 기분을 들어간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本草備要一書,蓋 (딸 힐; -총18획; xie) 取經疏、綱目二書之精義而備其要也。 왕인암 선생의 본초비요 한 책은 신농본초경소와 본초강목 두 책의 정밀한 뜻을 따서 요점을 대비하였다. 其藥品皆尋常共用之品,雖祗四百餘種,而檢書用藥,已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할 수 있으니 몸이 허약인이 사용할 때는 과체로 대신한다. (丹溪曰人參入手太陰、補陽中之陰。) 주단계가 말하길 인삼은 수태음경에 들어가서 양중의 음을 보한다. (蘆反能瀉太陰之陽,亦猶麻黃根、苗不同。) 노두는 반대로 태음의 양을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본초비요(本草備要)에는 차는 청신(淸神)이 된다고 하였는데 청신이란 권태나 활동력 감퇴를 다스리고 피로를 몰아낸다는 뜻이다. 탕액본초(湯液本草)에는 『차는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어지러움과 잠이 많고 잘 깨어나지 못하는 것을 치료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레시틴 Ⅳ. 고서에서 확인되는 흑임자 1.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2. 본초경(本草經), 명의별록(名醫別錄) 3. 본초비요(本草備要) 4. 본초강목(本草綱目) 5. 양로신서(養老新書) 6. 방약합편(方藥合編) Ⅴ. 흑임자죽 재료배합비의 최적화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