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2건

십이지신 토끼, 생각의 나무 이어령편집(2010), 십이지신 호랑이, 생각의 나무 김미애(2009), 한국과 중국의 동물속담연구:십이지신 동물을 중심으로, 한양대(중국어교육) 벌로마(2009), 한국어의 동물속담에 나타난 상징의미 연구, 건국대 대학원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십이지신 호랑이』, 생각의나무, 2009, p.324. 오히려 한국의 호작도는 주술적 실용성이 강조된 서민회화로 소박하고 순진한 느낌이다. 반면 일본의 호작도는 장식성이 강조되었으며 화려하고 강렬한 느낌이며, 오히려 털이나 눈·입 등을 세세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13.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산림경제(山林經濟)』 권제4(蛇條4) 등에서도 뱀 허물이 약재로 쓰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뱀허물이 정창, 모든 상처에 파리와 구더기를 없애는데, 태(胞衣)가 나오지 않을 때, 경풍(驚風) 등이 쓰인다고 했다. 7. 오시(11 - 13시) : 이 시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재위 702-737년)에서 옮겨온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두 방위에 따라 무덤의 호석 주위에 배치되는 통일신라시대의 십이지신장상들은 모두 평면적인 부조이지만 이 상은 완전히 두리새김한 점이 특징이다. 지금도 성덕왕릉 주위에는 다른 십이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십이지신 등의 조각상이 있는데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건 석견 한쌍과 새끼 한 마리가 있는 석견상이었다. 새끼 한 마리가 어미에게 매달린 모습은 영제교의 서수처럼 해학적이며 친근하며 심지어 인간미도 느껴진다. 엄숙한 공간에 이러한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