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악론의 의의
순자는 공자 이후 많은 유가 학파가 공자 사상을 왜곡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자의 진정한 가르침과 전통을 지키려고 노력했다. 벤자민 슈월츠 지음, 나성 옮김. ■■중국고대사상의 세계■■, 살림, 1996, p. 438 참조.
순자의 악론은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악을 익히지 않음으로써 사람이 사나와지고 서로 폭력을 쓰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고 무릎을 치게 되는데 현대에도 교도소에서 음악등으로 사람을 순화시키는 방법등은 어떨까 한다. 아무튼 간만에 좋은 글을 읽었다. 악론 1
악론 2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악론(樂論)>에서 볼 수 있다.
인간은 자연히 선(善)한 것이 아니라, 반드시 가르친 후에야 선하게 서는 것이다. 이는 7정 (情), 희(喜), 노(怒), 애(哀), 구(懼), 애(愛), 오(惡), 욕(慾)의 일곱 가지 감정이 마음 속에 얽혀서 고르지 못한 까닭이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악론의 쟁점, 서울대학교 동아문와연구소, 2003
장승희, 다산정약용의 도덕적 자율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정예정, 다산 정약용의 ‘성기호설’과 ‘지천’의 수행론,
장승구, 정약용과 실천의 철학, 서광사
유동원, 1983, 한국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할 수 있을 것이다. 음악의 부재를 한탄하고 음악을 익힐 것을 역설한 다산 정약용 선생의 뜻은 우리가 모두 숙지해야 할 것이다. 읽고 보니 과연 음악을 익히지 않음으로써 사람이 사나와지고 서로 폭력을 쓰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고 무릎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