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악(禮樂)에 밝았으며 특히 음률(音律)에 정통하였다. 앉으나 누우나 가슴에 손을 대고 박자를 짚고 휘파람을 불어 율려(律呂)소리를 냈다.[[註12] 그의 이웃에 적(笛, 대금)을 잘 부는 사람이 있어 글공부의 여가에 그에게서 적을 배우기 시작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악사상(禮樂思想)
3. 자주사상(自主思想)
제 3 장 [용비어천가]의 국어사 자료로의 특징
제 1 절 [용비어천가]의 문학사적 의미
1. 최초의 한글작품
2. 수사법
3. 조선건국의 정당성 확보
4. 용비어천가의 문체론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하여 귀천(貴賤) 의식을 버리게 되었다. 그리고 세상일을 접하는데 친소(親疎)의 감정을 버렸고, 부화(浮華)한 가식(假飾)에서 소박한 진리를 되찾아, 멍청히 홀로 고목 같은 자세로 살았고, 혼돈(混沌)한 세속 속에서도 도를 지키면서 혼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악(禮樂)을 정비하는 등 문화 정책을 펼쳐 나갔을 뿐 아니라, 몇 가지 중요한 책자의 체재도 그 문헌을 본떠 만들었다. 그만큼 세종이<성리대전>을 중시 하였다고 할 수 있다.
훈민정음에 대하여는 문자건 책자건 간에 언급될 만한 내용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악론(禮樂論) 9
묵가(墨家) 10
묵가학파 10
묵자(墨子) 11
묵자는 누구인가 11
겸애설(兼愛說) 11
묵자가 말하는 국가기원설 11
도가(道家) 12
도가학파 12
양주(楊朱) 12
양주는 누구인가? 12
양주의 근본사상 – 위아주의와 경물중생 12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3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