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를 넘어서』 학고재, 2002.
*참고 논문
가토 리에 「한국인에 의한 야나기 무네요시 연구사」
김희정 「조선에서의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수용 양상」2003
김희정 「문화 이데올로기로서의 야나기 무네요시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야나기와 고유섭을 중심으로), 동서문화, 계명대학교 동서문화연구소, 1988.12.
김창수, 「1920년대 인천 문화운동의 지형과 우현」, 제5회 인천학 세미나 우현 학술제
문명대, 「日帝時代의 한국미술사학」 『한국미술사학의 이론과 방법』, 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야나기 무네요시 평전, 효형출판, 2005.
마하트마 K. 간디 저, 박홍규 역 간디 자서전(나의 진실 추구 이야기), 문예출판사, 2007.
스가누마 아키라 저, 문을식 역, 힌두교 입문, 여래, 1993.
야나기 무네요시 저, 심우성 역, 조선을 생각한다, 학고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야나기에게 중세 고딕은 미학적으로나 사상적으로 깊게 관여되어 있었고, ‘협단’처럼 구체적 실천 모델의 모태가 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공예의 길』야나기 무네요시 저, 이길진 역, 신구문화사, 서울, 1994
『반룬의 예술사 이야기』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야나기 무네요시전(展)에서 본 많은 공예품들을 만났을 때엔, 이렇게 보존되고 간직되는 좋은 면 아래 이것이 진정 야나기가 말한 공예의 ‘미’인가라는 의구심이 저절로 들었다. 야나기에게 있어 공예의 원칙 제1조건이 바로 쓰임(用)이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