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한 삶은 많은 사람들에게 모범이 될 수 있으며, 그 파급 효과가 지대하다는 점을 깨달아야겠다.
넷째, 우리의 문화유산과 전통 윤리를 너무 경시하고 이를 계승, 발전시키는 데 소홀하였다. 고도의 산업화를 이룩하여 생활의 편의와 물질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337∼1397)
3. 조선의 교육사상가
(1) 권근(權近,호는 양촌, 1352∼1409)
(2) 이 황(李滉:퇴계, 1501∼1572)
(3) 이이(李珥: 栗谷, 1536∼1548)
4. 조선의 실학 사상가
1) 유형원(柳馨遠, 1622∼1673 , 호는 반계)
2) 정약용(丁若鏞, 1762∼1836. 호는 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몽주(鄭夢周; 1337-1392)
1) 교육사상의 기초 : 성리학
2) 교육이념 : 치지궁행(致知躬行)
3) 교육적 인간상 : 충군신의인(忠君信義人)
4) 교육목적 : 도덕적 실천인의 양성
5) 교육내용 : '대학'과 '중용'을 심신의 학문으로 중시하였다.
6) 교육방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鄭夢周, <定州重九韓相命賦>
弊業三峯下일 그만두고 삼봉 아래
歸來松逕秋가을 소나무 길로 돌아왔네.
家貧妨養疾가난 탓에 병 요양하기 어렵지만
心靜足忘憂마음 고요해 근심 잊기 족하네.
護竹開迂徑대나무 그대로 두려 길을 빙 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8.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산 정약용 (丁若鏞) 1762∼1836
1. 생애와 저서
정약용(丁若鏞)은 1762년(영조 38) 8월5일 경기도 광주 초부면 마현리에서 양반 가문인 정재원(丁載遠)의 넷째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약용(若鏞)이고, 호는 다산(茶山)이라 하였다. 세상에서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16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