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어의 변화
㉠<북한의 동의어(한자어 및 고유어)>
단어
단어
단어
단어
태양력
반
포격
반비례
약용식물
마철
모조
살모사
삼극진공관
다층주택
폭발음
삼복지경
과외시간
관악기
광물질비료
찰학가
하강선
야간전투
야전포
부유하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차이점은 유행어 속에서 풍자, 해학, 비판, 신선감이 새말에 비하여 더 많이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1. 어휘의 체계
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3. 어휘의 양상
1) 방언
2) 은어?속어
3) 금기어?완곡어
4) 관용어?속담
5) 전문어
6) 새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4.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론 개설」. 집문당, 1971
http://www.korean.go.kr Ⅱ. 서론
가. 『조선말 대사전』(1992)의 관련 어휘 처리
Ⅲ. 본론
가. 한자어가 그 고유어 동의어보다 뜻의 폭이 넓은 경우
나. 일상에서 잘못 쓰이고 있는 동의어
Ⅳ. 결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어의 대응 현상, 국어학회.
김광해(1990). “어휘 교육의 방법”, 국어생활 22호, 국어연구소.
김광해(1993).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김광해(1994). “국어 교육 평가의 이상과 현실”, 선청어문 22,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과.
김광해(1997). “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어가 가지는 의미의 엄밀성, 제약성 등과 더불어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이들 각각에는 그에 상응하는 용도가 주어져 있었던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4. 의미장
4.1. 어휘 연구와 의미장 이론
어휘론에서 어휘소들이 공시적으로 연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