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질
외사촌의 며느리
외당질부
진외당숙
아버지의 외사촌
진외당숙(陳外堂叔)
2) 호칭어 오류
사전
실제의미
오류사항
삼촌-댁(三寸宅):
삼촌의 아내란 뜻으로 작은어머니를 낮추어 이르는 말.
삼촌-댁(三寸宅):
숙부가 사는 집.
숙모는 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편화되지 못한 경우 봉투에도 문장의 인사말을 쓸 수 있다. 출판 기념회 등 마땅한 인사말이 없을 경우 이와 같이 상황에 맞게 적절한 인사말을 쓰면 될 것이다. 1. 언어 예절의 중요성
2. 호칭어와 지칭어
3. 경어법
4. 인사말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절-*호칭어와 지칭어*(직접적인 호칭일때는 상대에 따라 높이고 낮추는것이 자유로우나 간접적인 가리킴 말인 지칭일때는 상대쪽은 높이지만 자기쪽은 높이지 않는다.
2)직장과 사회에서의 언어예절
<상황에 따른 인사법>
1.상사나 동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칭어와 인사말을 쓰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측면의 자각적인 노력과 인격이 필요하다. 사회에서의 호칭어와 인사말과 같은 기본적인 예절은 남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에서 출발하게 된다. 그 만큼 올바른 호칭어와 인사말은 사회 구성원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칭어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상대방을 부르는 말이고, 다른 사람을 가리켜 이르는 말이 지칭어이다. 여러 나라에 비해 복잡하고 까다롭다는 특징이 있어 이를 잘못 사용하면 기본예절이나 교양이 부족한 사람으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우리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