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고, 누나가 눈앞에서 없어진 이우진은 거기서 정신적 성장이 멈춰 버린다. 자신이 분출하던 욕망을 해소 할 수 없어진 우진은 누나의 죽음이 모두 오대수의 탓으로 투사 (내 마음속 불안의 원인을 다른 사람이나 사물의 탓으로 돌리는 것)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슬을 끊어 버리는 것은 그 악순환의 사슬로부터 아예 떠나버리는 수밖에 없다. 어디론가 그렇게 떠나버려서 이우진에 대한 증오의 앙금은 평생 남겨둔 채로 오대수와 미도가 서로 그렇게 사랑하며 살아가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우진이 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심을 드러내 주는 것일 거다. 그들의 복수가 끝나고 마지막으로 오대수가 미도를 만나는 장면, 그 장면에서만이 하얀 눈이 내리고 그들은 눈이 소북한 들판에서 서로를 껴안으며 내내 어두웠던 화면을 밝힌다. 하지만 진실을 아는 몬스터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 있었다.
<참고문헌>
-책-
김희영, 『이야기 중국사 2』, 청아출판사, 2006.
노노메 조후(布目潮), 구리하라 마쓰오(栗原益男), 슈도 요시유키(周藤吉之), 임대희 옮김, 『중국의 역사【수·당·오대】』, 혜안, 2001.
염수성(閻守誠), 오종국(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 결국 그것을 확인하는 방법이 자신의 죽음이었던 수아의 모습이 아이러니컬하다. 확인을 하고 싶은 것은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결국 약하다는 이야기이다. 이수아가 죽음을 택한 것은 오대수와는 달리 약한 사람이었기 때문이 아닐까.&nb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4.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