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6건

현종의 치세에 관한 일고 개원년간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21권 0호, 호남사학회, 2003. 지배선, 「양 귀비와 당 현종」, 『동방학지』 105권0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9. Ⅰ. 머리말 Ⅱ. 현종(玄宗) : 개원(開元)의 치 Ⅲ. 양귀비(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玄宗聞捷,乃罷親征議,拜訥爲右羽林大將軍,兼平陽郡公,晙爲銀光祿大夫,加源縣男爵,兼原州都督。 현종문첩 내파친정의 배눌위우우림대장군 겸평양군공 준위은청광록대부 가청원현남작 겸원주도독 당현종이 승첩을 받아 친정논의
  • 페이지 76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6.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玄宗幸蜀,自馬嵬之後,屬念貴妃,往往輟食忘寐。 현종이 촉으로 순행하여 마외에서 양귀비가 죽은 뒤로 양귀비를 생각하여 왕왕 밥을 거르고 잠을 잊었다. 近侍之臣,密令求訪方士,冀少安聖慮。 근처에서 모시는 신하는 비밀리 방사를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현종(玄宗)의 쿠데타에 의해 일소되었지만 ‘무위(武韋)2代’의 정변 덕분에 신흥지주계급의 대표가 정계상층부(政界上層部)에 등장할 수 있게 되었다. 무후의 시대부터 대량으로 진출한 과거출신의 관료가 그것이며, 그 추세는 현종의 시대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실시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현종(玄宗)때에는 부병제 대신 모병제(募兵制)를 실시하였다. 한편 고종(高宗)시대 이래 설치된 군진의 수가 증가하자 군진의 수병과 부병으로는 수가 부족하게 되었고 부병의 원술의 고통이 컸다. 이에 일찍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