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종(玄宗)과 당(唐)의 몰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종(玄宗)과 당(唐)의 몰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현종(玄宗) : 개원(開元)의 치
Ⅲ. 양귀비(楊貴妃)와 현종의 실정
Ⅳ. 안·사의 난과 당(唐)의 몰락
Ⅴ. 맺음말

본문내용

대해 알아보았다. 현종은 황제위를 차지하기까지의 주도면밀한 계획을 가졌다. 또한 집권 후에는 요숭과 같은 그 시대 뛰어난 인재들을 적재, 적시에 활용하고 국가를 현명하게 관리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중국 최고의 태평성세였던 ‘개원의 치’를 이룩하였다. 하지만 20여년의 태평성세 끝에 노년에 양귀비에 빠져 정치에 싫증을 느끼면서 여색과 사치를 부리게 된다. 따라서 이림보, 양국충의 재상들에게 국정을 맡기고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못하였으며, 절도사의 세력의 확대로 안·사의 난이 발발했을 때는 결국 돌이킬 수 없이 당을 쇠퇴의 길로 빠져들게 한다.
현종은 당의 찬란했던 역사 속의 주인공이었지만 당이 암흑기로 접어드는 순간에도 존재했다. 따라서 우리는 그를 통해 나라가 태평성세로 나아가는 길과 나락으로 떨어지는 길에서의 지도자의 역할을 봄으로써 현재 이 시대를 이끌어나가는 지도자가 갖추어야 태도와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
<참고문헌>
-책-
김희영, 『이야기 중국사 2』, 청아출판사, 2006.
노노메 조후(布目潮), 구리하라 마쓰오(栗原益男), 슈도 요시유키(周藤吉之), 임대희 옮김, 『중국의 역사【수·당·오대】』, 혜안, 2001.
염수성(閻守誠), 오종국(吳宗國), 임대희, 우성민 옮김, 『당현종』, 서경문화사, 2012.
조검민(趙劍敏). 곽복선 옮김, 『개원의 치세』, 출판시대, 2002.
-논문-
김명희, 「당,현종의 치세에 관한 일고 개원년간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21권 0호, 호남사학회, 2003.
지배선, 「양 귀비와 당 현종」, 『동방학지』 105권0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9.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12.13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39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