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1974, 국사편찬위원회
朴漢卨, 「高麗太祖의 後三國統一政策」 『史學志』14, 1980
박한설, 「고려의 건국과 호족」 『한국사』12, 1993
김갑동, 「왕권의 확립과정과 호족」 『한국사』12, 1993 Ⅰ.머리말
Ⅱ.본론
Ⅲ.맺음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족들이 살해당하였다. 그렇지만 광종대는 개혁을 통하여 호족공신 세력의 약화와 왕권의 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시기라 하겠다.
(2) 경종대의 정치와 호족
광종은 재위 26년 만에 51세의 나이로 죽고 그 뒤를 이어 그의 맏아들인 경종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게 되었다. 하나는 중앙으로 진출하여 문벌귀족이 되었고 다른 하나는 지방에 남아 있으면서 왕권 강화와 더불어 향리화의 길을 걸었다. 고려시대 문벌귀족의 저변에도 호족의 후신이라 할 수 있는 향리의 세계가 있었던 것인데 중국의 경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족」 『한국사』12, 1993
김갑동, 「왕권의 확립과정과 호족」 『한국사』12, 1993 Ⅰ. 머리말
Ⅱ. 신라말 사회동태
Ⅲ. 고려의 건국과 왕권강화책
1. 혼인정책
2. 사성정책
3. 사심관제도와 기인제도
4. 서경제도
5. 태조후의 왕권강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족은 신라말고려초의 사회변동을 주도한 지방세력이었다. 호족은 경주 중심진골 중심의 신라골품제사회를 해체하고 각지의 지방민과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이 지배체제에 참여할 수 있는 보다 개방적인 사회체제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