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고문헌〉
※ 와다 하루키,『북조선 :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론』, 출판사 돌베개 2002. 2
※ 이종석, 『유격대국가론의 성과와 한계』, 한국과 국제정치 20호 1994. 12
※ 이성봉,『북한연구의 새로운 논쟁 촉매제』통일한국 2007. 7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극장국가 체제로 유지되고 있음. 정규군국가에서는 혁명적 군인정신, 총폭탄정신, 자폭정신 등의 고취. (유격대국가에서는 속도전, 전격적, 섬멸전 사용)
Ⅲ.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의문점
-김정일 시대에 들어와 더 이상 유격대국가론이 적용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격대 국가론은 그 단어(유격대)가 갖는 뜻과 직접 관련된 어떤 개념이라기보다는 \'김일성 유일체제\'를 표현하는 좀 매력적인 용어 쯤 된다. 그는 \'선군정치\'로 알려진 김정일의 북한 시스템을 \'정규군 국가\'로 명명하기도 하였는데 군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루키가 주장하는 것처럼, 현재에 이르러서 ‘정규군 국가’로 새롭게 재편되었지만 여전히 조선인민혁명군의 전통은 ‘항일무장투쟁’에서 비롯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북조선을 지탱하는 일본에 대한 역사적 적개심을 극복한 이후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요내용
1. 북조선을 어떻게 해독할 것인가?
2.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탄생
4. 조선전쟁
5. 사회주의체제와 유격대국가의 성립
6. 북조선의 정치문화
7. 북조선의 국제관계
8. 북조선의 군사력
9. 북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