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교구신론의 근간인 겸곡의 양명학론을 살펴보았다. 그의 양명학론은 양지라는 인간의 참모습을 새롭게 발견하여 그것을 내외로 널리 유감없이 구현하도록 하는 사상임을 알게 되었다. 그것을 총괄해 보면 양명이 오득한 그 양지는 1) 인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가의 경우도 궁극적인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면 더 이상 사려분별이 불필요해진다. 바로 중용의 “誠子, 不勉而? , 不思而得, 從容中道, 聖人也”에서 불사이득이 그것을 말해준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교의 자기수양론은 분명 한국인의 영혼돌봄/상담에 인지 및 도덕적 시스템으로서 큰 역할을 하여왔다. 특히 ‘정좌’(靜坐)라는 일종의 몸을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리는 실천방식과 한 개인의 내면인 마음으로부터 국가 및 천하라는 환경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인통을 언급 -근대철학 특색
-근대철학 발흥원인
-북송오자의 사상
-주렴계
-소강절
-정명도
-정이천
-장횡거
-주자의 사상
-육상산의 사상
-주자와 육상산의 사상의 비교
-왕양명의 사상
-청대의 유교사상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좌법(靜坐法) 등이 있었다.
관련 서적
한국교육사 / 박재문 / 학지사 / 2001
한국교육사 /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외 / 교육과학사 / 1997 Ⅰ. 조선교육의 특징
1. 조선 교육정책의 방향
2. 소학의 중시
3. 조선의 교육과 현대공교육제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