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RROR : 10731] 오류 발생. Ⅰ. 서론
음운론과 음소
Ⅱ. 음소의 정의
Ⅱ-1. 음소의 특성
가. 변별과 대립
나. 이음
다. 초분절음소
Ⅱ-2. 생성음운론과 음소
가. 변별자질과 음소
나. 변별자질의 분류
Ⅱ-3. 구조음운론과 음소
가. 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뜻을 달리하는 음소적 대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두 소리를 직감적으로 구별하지 못하면 국어의 [불] 과 [뿔] 이 뒤섞인다는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말하는 사람은 어릴 때부터 이 구별을 똑똑하게 할 수 있도록 훈련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소의 본질을 그 분포에 중점을 두고 정의한 것은 사실이나, 그는 음소의 대립이 말의 뜻을 분화하는 힘을 가졌다는 것을 결코 소흘하게 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소리가 말의 뜻을 구별해 주어야 한다는 그 기능의 각도로 음소를 정의하는 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3.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는 경향이 그것이다. 한국인은 영어의 개별 음소가 뜻의 구별을 나타내준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음소의 구별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성절 자음과 그 앞의 자음 사이에 /ㅡ/를 넣어 발음하는 것이다.
둘째, /i:/의 삽입이다.
한국어에는 구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소에 대해서 학습하는 것은 영어권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면서 우선적으로 자신의 모국어와는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 인지하게 할 수 있는 첫 걸음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은 한국어를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 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