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음운론, 서울: 한국문화사, 1999
2. 오정란, 현대국어음운론, 서울: 형설출판사, 1993
3. 김종훈, 영어음운론, 서울: 한신문화사, 1997
4. 金永錫, 영어음운론, 서울: 翰信文化社, 1993 Ⅰ 국어의 자음동화
1. 동화의 종류
2. 국어의 자음동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의 평음과 격음의 차이를 어느 정도 구별한다. 실제 영어권 화자들이 듣는 한국어의 /ㄱ, ㄷ, ㅂ/ 등은 각각 ‘약한 k, 약한 t, 약한 p’, 즉 [bh], [dh], [gh]와 같이 듣는다. 이 소리들은 /b/, /d/, /g/보다는 /p/, /t/, /k/에 가까운 소리다. 한편 그들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에서 연접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연접이란 말을 이어갈 때 어느 정도 두는 간격을 말한다.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에서 어느 부분에서 끊어 읽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의미가 달라지는 것은 바로 이 연접 때문이다.
(12) 가. 아버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음운론, 학연사
2. 이진호(2014), 개정판 국어음운론강의, 삼경문화사
3. 김영국 (2004), 언어와 언어학, 그리방
4. 백두현 외 2(2013), 한국어음운론, 태학사
5. 국립국어원(2011) : 한국 어문 규정집, 크리홍보
6. 배주채(2017), 국어음운론개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모음은 자음과 달리 기류가 구강에서 어떤 방해도 받지 않고 나는 소리이다.. 손상미, 한국어음운론 p.37
조음방법에는 마찰, 폐쇄, 유성음화 등이 있다. 마찰이란 성도에 좁은 틈을 만들어 그 사이로 날숨이 지나게 하여 내는 소리, 폐쇄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4.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