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운변천
1. 자음체계의 변천
2. 모음체계의 변천
3. 음소 연결 방식의 변천
Ⅶ.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커니와 표기
Ⅷ.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ㄱ탈락
1. 곡용에서의 ㄱ탈락
2. 활용에서의 ㄱ탈락
Ⅸ. 중세국어(중세한국어)와 언간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 현상(변천)
(1) 원순모음화
.근대 국어 시기에 가장 뚜렷한 모음 변화의 하나인 원순모음화는 순음인 \'ㅁ,ㅂ,ㅍ,ㅽ\' 아래에 오는 평순모음인 \'ㅡ\'가 \'ㅜ\'로 변하는 현상을 가리킴.
-그믈>그물 믈>물 블>불 븟다>붓다 블다>붉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둘 이상의 의미의 상호연관성을 말하는 사람이 깨닫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둘째는 음운변천의 결과 원래 다른 소리가 같게 되는 경우가 있다.
3. 결론
위에서 다양한 한국어 단어의 의미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의사소통의 기본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변천의 과정을 거치게 되어 어휘가 분화되어 「 초다>갖추다」로 의미축소가 일어난 것이다.
이렇게 의미축소가 이루어진 어례를 다음아래에 정리하였다.
1.걷다:걷다.거두다.걷히다->걷다
2.가리다:.가리다.가래다.가르다.분별하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천의 시기
이러한 두-15세기와 지금-음운 체계의 다름은 조선조 500년 동안에 일어난 변천의 결과인데, 다음으로 이 변천의 하나하나가 언제 일어난 것인지를 밝히기로 한다.
(1) 닿소리 체계의 변천
① /ㅸ, ㆅ, ㅿ/가 없어짐
이 세 음소가 없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