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 ‘-니-’를 어떤 문법적 의미도 지니지 않은 공형태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아무런 의미가 없는 듯이 보이는 ‘-니라’의 ‘-니-’에서도 미약하게나마 화자의 양태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중세국어의 설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이 변동되는 것은 음성이 변동되는 것보다 비교적 잘 인식된다. 음운변동의 원인을 크게 나누어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ㄱ) 음운의 통합체계의 제약에 의한 것. = 제약
(ㄴ) 발음의 편이를 위한 조음경제적인 것. = 동화, 축약, 탈락
(ㄷ) 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유음(3단계)
Ⅳ.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파생형용사
1. 어기와 그 성격
2. 접미사와 그 성격
Ⅴ.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의문어미
Ⅵ.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ㄱ탈락
참고문헌
Ⅰ.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특징
근대국어 표기법상에 나타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어휘분류 체계 대비」, 한국어문학회,1991.
디지털 한글박물관(http://www.hangeulmuseum.org/) 문헌 자료와 해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국립국어연구원(1996), \'중세 국어 자료\', \"국어의 시대별 변천, 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 환경과 그 예를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ㄱ. 한자어 아래,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올 경우
中國+에 -> 듕귁에,
ㄴ. 자음탈락이 있은 위치
: ‘ㄱ’ 탈락한 자리 : 를와, ㅁ어늘, 몰애
: ‘ ’ >변천한 경우 : 글+발-> 글발>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