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부", 民事判例硏究 X VIII, 1996, 424면 이하 참조.
6. 이 判決의 意義
_ 이 판결은 종래 논의가 많았던, 민법시행 전의 異姓養子의 허용 여부에 대하여도 명쾌한 태도를 밝힘으로써 종래의 반대판례를 정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민법 부칙에 의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성능이 나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전화선을 이용해 제법 괜찮은 수준의 화상전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미 규격이 완성되었기 때문에 올해 하반기부터는 전화선에 바로 연결할수있는 화상전화기가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성계후의 실증적 연구」 『법학』 14-1, 1973
박현순, 「16세기 사대부가의 친족질서-이황 집안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07, 1999
이병수, 「우리나라의 이성양자고」, 『법사학연구』 6, 1981
정긍식, 『조선초기 제사승계법제의 성립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자제도만이 강조되었다. 그러므로 세 번째의 시양자가 많았고, 친자식과 동일한 권리 의무를 가지고 있었으나, 생가와의 관계는 완전히 단절하지 않았다.
고려시대에는 양자제도가 특이하여 이성양자제도가 행하여졌으며, 외손봉사도 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자는 양부(養父)와 동성동본인 혈족에 한하여 가능하였는데, 개정 민법은 이를 삭제하여 이성양자(異性養子)도 호주승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호주승계는 임의적 제도이기 때문에 호주의 지위승계 여부는 당사자의 자유의사에 따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