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입사행론장권자》에는 이것이 혜가와 그의 제자간의 문답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면 혜가가 달마에게서 구한 것은 단순히 마음을 진정시키는 방법이나 그 원리가 아니라, 현재의 자신의 마음을 단번에 안정시키는 것이었다. 달마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입사행론은 지혜 즉, 반야의 실천면으로 볼 수 도 있다. 일상적 지식이란 분별적 제상념을 비교 평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대하여 반야는 언제나 심을 비우는 실천에 바탕하게 되는데 이입사행론 에서는 바로 이러한 의미를 찾아 볼 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야다라” 라는 고승이 民衆에게 열심히 가르침을 베푼다는 말을 들은 국왕은 그를 곧 궁궐로 초대하여 그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였다.
그 시절까지만 해도 불교는 새로운 가르침이었고, 신자도 위로는 국왕에서 아래로는 노비에 이르기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야다라 존자, 28대 보리달마 존자, 이렇게 인도의 법계는 28대 달마대사(보리달마)까지 이어진다. 달마 대사는 중국(수나라)에 와서 중국 선종의 초대 조사가 되었고, 이후로 29대 이조 헤가 대사, 30대 삼조 승찬 대사, 31대 사조 도신 대사, 32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입사행과 안심법문의 공관을 계승하되, 더욱더 현실속에서 구체화되고 사실적이고, 우리의 가슴에 직접 와닿을 수 있는 법문을 통해서 자신의 선사상을 가르쳤다.
또 마조는 혜능의 무심, 무념, 자성청정을 계승시켜 평상심시도라는 말을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7.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