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시의 개관과 구조, 교학사, 1992
5. 마무리
본고에서는 현대시조가 당면한 여러 가지 어려움과 현대시조의 전형성에 대하여 탐구하고 집중적으로 논의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호우의 작품을 통해 현대시조의 전형성과 시조라는 장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조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일석(一石) 이희승(李熙昇)은 계속 시조다. 1938∼39년에 《문장(文章)》 《동아일보》 등을 통해 등단한 이호우(李鎬雨)·김상옥(金相沃) 등에 의해 시조는 심화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이호우는 현대 시조에서 내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조를 한 수 골라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비교에서 얻어낼 수 있는 바를 발표한다.
발표조의 발표가 끝난 뒤, 각 모둠은 발표한 바를 토대로 시조의 비교를 행한다.
ex) 제시할 수 있는 현대시조
이병기의 난초 연작시나 이호우의 현대시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등이다. 그러나 정작 현대 시조를 실험하고 창작하여 문학적으로 부흥시킨 시인은 이병기의 추천으로 <문장>을 통해 등단한 이호우와 김상옥이다. 이 중에서 이호우는 연시조, 양장 시조 등과 같은 새로운 시조 형식을 실험할 뿐만 아니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호우
살구꽃 핀 마을은 어디나 고향 같다.
만나는 사람마다 등이라도 치고지고.
뉘 집을 들어서면은 반겨 아니 맞으리.
바람 없는 밤을 꽃 그늘에 달이 오면,
술 익은 초당(草堂)마다 정이 더욱 익으리니,
나그네 저무는 날에도 마음 아니 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5.0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