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다 한 세대 앞선 민지는 주자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본떠 『본조(本朝)편년강목』을 지었지만 “성리학을 알지 못했다”는 평가를 들었고, 이제현 다음 세대에서 유종(儒宗)으로 일컬어졌던 이색조차 후배들에게서 “학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더할 뿐이다. 그러므로 자주 백성의 소동이 일어났다.
☞탐라요는 경작할 곳도 없는 협소한 지역에서 육지에서 오는 배만을 기다리며 어렵게 살아가는 탐라 백성의 생활상을 그린 가요이다.
Ⅲ. 마치면서
익재 소악부는 칠언절구 형식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성시기
5. 1. <서경별곡>의 작자문제
<서경별곡>은 작자·연대 미상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속요라는 기록조차도 찾아볼 수 없다고 흔히 이야기한다. 그러나 익재소악부에 둘째연이 한역되어 있고, 『성종실록』에 <쌍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7.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때에 새롭게 등장한 악부는 그 본래의 속성대로 일반 백성들의 삶의 고뇌나 남녀상열 등의 인정세태, 민간의 풍속 등을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다.
5. 익재가 우리문학에 끼친 영향
이제현의 소악부는 고려 말엽에 이색·이숭인 등에게 영향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6대 충선왕 이후 공민왕에 이르는 여섯대 임금을 섬겨 온 명신이었다. 익재공은 시조로부터 52세요 소판공으로 부터는 칠십세이다. 그의 아버님은 문정공 (이진)이며, 호는 동암공 이다. 충숙왕 때 겸교정승을 지냈는데 (제자백가)에 통하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